320x100
2025년 10월~12월, 보건복지부와 사회보장정보원이 전국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을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시행합니다. 이번 조사는 단순 확인이 아닌 AI 기반 정밀 검증 절차로, 금융자산까지 포함해 지원 자격을 재점검합니다.

전수조사 일정 및 대상 (2025 최신)
구분 | 내용 |
---|---|
조사 기간 | 2025년 10월 1일 ~ 12월 31일 (3개월) |
대상자 | 생계·의료·주거·교육급여 수급자 및 차상위 계층 전체 |
주관 기관 | 보건복지부 / 사회보장정보원 / 각 지자체 복지정책과 |
조사 방식 | AI 기반 전산조사 + 현장 실태조사 병행 |
결과 반영 | 2026년 1월부터 수급 자격 조정 반영 |
이번 조사에는 141개 금융기관과 20개 공공기관의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연동됩니다. 예금, 보험, 부동산, 자동차 등 모든 자산이 자동 분석 대상입니다.
조사 항목 금융자산 전면 조회
- 소득 변동: 근로·사업·연금·공적이전소득 등 전 항목
- 재산 변동: 주택·토지·보증금·차량·건물 등
- 금융자산: 예금, 청약, 적금, 주식, 펀드, 보험, 외화자산 등
- 가구 구성 변화: 세대 분리, 독립, 동거 여부
- 소비 패턴: 카드 결제, 전기·가스요금 납부, 현금 입출금 기록
올해는 소비·금융 패턴 분석이 포함되어, 단순 입출금 내역도 생활수준 지표로 평가됩니다.
조사 절차 및 일정
- 10월 초 — 전산 자동검증 시작 (건보공단·국세청·금융기관 연계)
- 10~11월 — 지자체 복지과 1차 검토, 변동 큰 대상 선별
- 11~12월 — 현장 방문조사 및 서류 확인
- 12월 말 — 결과 통보, 이의신청 30일 이내 가능
2025년 변화된 점
구분 | 2024년 | 2025년 |
---|---|---|
조사 범위 | 표본조사 중심 | 전국 전수조사 |
AI 분석 항목 | 소득 중심 | 금융자산·소비패턴까지 확장 |
연동 기관 수 | 70개 금융기관 | 141개 금융기관 + 20개 공공기관 |
조사 목적 | 부정수급 방지 | 형평성 확보 + 사각지대 발굴 |
불이익 방지 팁
- ① 소득·재산 변동 즉시 신고 — 차량 구입, 취업, 주택 매매 등은 즉시 보고
- ② 통장 관리 철저 — 생활비라도 반복 입금 시 자산 증가로 간주될 수 있음
- ③ 조사 협조 필수 — 서류 미제출·조사 거부 시 수급 중단
- ④ 이의신청 활용 — 결과 통보 후 30일 이내 서면 제출 가능
- ⑤ 부양의무자 정보 갱신 — 자녀 취업·결혼 시 즉시 신고
문의 및 지원
기관 | 문의처 | 비고 |
---|---|---|
보건복지상담센터 | ☎ 129 | 전국 공통 상담 |
지자체 복지정책과 | 시·군·구청 직통번호 | 가구별 문의 가능 |
사회보장정보원 | www.ssa.or.kr | 복지 자격 조회 |
마무리 “복지는 투명할 때 오래간다”
기초수급자 전수조사는 단순 행정 절차가 아니라 복지 형평성과 공정성을 위한 핵심 제도입니다. 성실하게 신고하고 협조하는 것이 가장 좋은 대응법입니다.
“정직하게 신고한 만큼, 복지는 당신 곁에 오래 머무릅니다.”
반응형
'정책.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 기초생활보장제도 개편안 총정리 소득기준 상향, 부양의무자 완화, 생계급여 인상 (0) | 2025.10.16 |
---|---|
청년 월세 지원금 2025 신청방법 총정리 (최신 대상·자격 포함) (0) | 2025.10.15 |
중장년 재취업지원금 신청방법 – 4050을 위한 정부정책 총정리 (2025) (0) | 2025.10.15 |
청년도약계좌 모바일 신청 단계별 가이드 + 승인 실패 방지법 (0) | 2025.10.14 |
희망저축계좌Ⅱ(2) 올인원 가이드|신청방법·조건·신청기간 (0) | 2025.10.13 |